자동차 내·외장재
대상품목
카시트, 안전벨트, 매트, 패드, 플로어매트, 시트커버, 도어트림, 방음/흡음재, 에어백, 스위치, 계기판(부품), 기타 플라스틱 성형부품, 고무, 부직포 등 자동차 제조에 사용되는 모든 자재
주요 시험항목
관련 시험항목
비중 / 겉보기 밀도 / 경도 / 인장강도 / 신율 / 내열노화성시험 / 연소성 / 영구압축줄음율 / 내유성 / 내오존성 / 저온취성 / 냄새 / 광택 / 연필경도 / 내스크래치성 / 내표면손상성 / 부착성 / 내충격성 / 내저온충격성 / 내습성 / 내수성 / 내염수분무성 / 내산성 / 내알칼리성 / 내약품성 / 내썬크림성 / 내열CYCLE성 / 내광성 / 내후성 / 내마모성 / 환경유해물질(중금속함량 등) / 담가(Fogging)시험 / 용융지수 / 굴곡강도 / 굴곡탄성율 / IZOD충격강도 / 열변형온도 / 로크웰경도 / 중량 / 밀도 / 두께 / 가열감량 / 정하중신율 및 잔류줄음률 / 박리강도 / 내유화수소성 / 파열강도 / 강연도 / 통기성 / 봉제강도 / 봉제피로도 / 수분율 및 함수율 / 수축률 / 세탁견뢰도 / 마찰착색성 / 대습도 치수안정성 / 발수성 / 청정성 / 표면마찰계수 / 오염불식성 / 방화도 / PILLING성 / 내한성 / 주름방지율 / 복합환경부식촉진시험 / 흡음율 / VOCs 방출량 / 접촉각 / 내치핑성
주요 시험항목 소개
-
자동차 내장재인 PVC, 섬유 및 가죽제품들의 휘발성을 측정하는 시험. 고온에서 증발된 휘발 성분들은 유리창에 응집되어 운전자의 시야를 방해하는 등 안전운전을 저해시키는 요인들을 줄이기

적용규격 : MS 300-54 , GMW 3235, EDS 7694, TS M 0503 G , NES M 0161 , RENAULT D 45 1727
측정 방법
① Photometric (반사법)
굴절율의 변화로서 측정.
샘플을 비이커에 넣고 glass plate를 덮은 다음 3시간 동안 100°C 로 유지하고 glassplate 표면은 21°C 로 유지한다. 실험 전후의 glass plate 표면의 60° 굴절율 값을 비교한다.
② Gravimetric (중량법)
중량법에 의해 시험하는 방법
샘플을 알루미늄 호일로 덮은 비이커에 넣고 100°C에서 16시간을 가열, 시험 전후의 알루미늄 호일 무게차를 비교한다.
③ Hazemeter
유리판의 흐림도를 측정하는 방법.
시험하려는 물질을 비이커에 넣고 유리판과 무게 추를 덮은 다음 5시간 동안 100℃로 유지한다. Haze meter기로 유리판 표면의 흐림도 측정한다.
-
섬유, 플라스틱, 고무 등 고분자 재료와 도료, 안료, 염료, 잉크 등이 일광(주로 자외선) 및 기상 변화에 노출되었을 때 열화 또는 변색/퇴색에 견디는 성질을 평가하는 시험

적용규격 : MS 210-05 , MS 210-06 , SAE 1885 , SAE 1960 , ISO 105-B02, ISO 105-B06 Condition 5
내후성시험의 요소
-
Light
- Quality
- Day and night cycles
-
Water
- Humidity
- Rain
- Condensation
-
Temperature
시험장비의 구성
판정
-
차 실내 화재 발생 시 화재로부터의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내장재의 내인화성에 대한 시험

적용규격 : MS 300-08 , GMW 3232
원리
불 발생 인자인 연료, 산소, 에너지가 필수적으로 필요.
에너지는 발광, 스파크 및 불꽃의 형태로 연로로 전달되며 이때 인화원의 유지 및 밀도 즉, 가연성 물질과 에너지원과의 거리가 불을 유지하는 중요한 인자로 작용.
공기(산소)는 실제 연소 과정에서 필수적으로 필요하며 이는 연료와의 화학반응에 관여
측정방법
시험편 크기 : 폭 100 mm, 길이 350 mm 방향별 5개
불꽃 점화시간 : 15초
불꽃 높이 : 38mm
시험순서
시험편의 표면이 BURNER 의 불꽃이 점화되도록 아래로 향하여 끝단과 시험장착구에 정확히 맞추어서 끼운다.
시험장착구 중심이 시험편 끝단의 중심에서 아래로 19 mm 위치가 되게 연소시험장치 중앙의 지지대위에 설치.
불꽃높이 : 약 38 mm
불꽃을 15 초간 시험편에 점화시킨 후 BURNER의 불꽃을 즉시 끈다.
연소가 A표선 (시험편의 끝단으로 부터 38 mm) 위치에 도달했을 때 시간측정을 시작하고 B표선
(A 표선으로 부터 254 mm 위치)에 도달하는 데 필요한 시간을 측정하여 연소속도를 계산
시험 결과
불연성[O 또는 DNI, Does Not Ignite] : BURNER 불꽃에 15 초간 닿아도 전혀 연소하지 않는 경우
자기 소화성[SE, Self Extinguishing]
착화 시작점 부터 38mm까지 연소가 도달하지 않는 경우
38mm (A)지점을 넘어도 60초 이내에 꺼지거나 (A)지점을 지나 50mm이하로 연소하는 경우
연소속도
B =(D/T)X 60
B : 연소속도(mm/min)
D : 연소길이(mm)
T : 연소시간(초)
-

적용규격 : MS 300-34, GMW 3205
관리 배경
공기오염에 의한 사망자 연간 300만명 발생, 그 중 실내공기오염사망자 280만명으로 추정(WHO)
새집증후군 및 새차증후군 등 현대인들이 하루의 80%이상을 실내에서 생활함에 따라 국민 건강증진보호를 위한 선진적 관리기반을 범정부적으로 구축
아토피 피부염, 호흡기 질환 등 원인불명의 질환 증가
원인
원소재, 접착제, 발포재, 코팅재, 표면처리제, 가소제, 석유계 방향족화합물 등에서 유해 성분 방출

측정 방법
DRY 조건
① MS 300-34
시험편을 시험용기에 넣고 밀폐 후 규정 온도로 유지되는 OVEN에서 2시간 가열. 시험 용기를 꺼낸 후 실온 23℃에 60분 방치하여 식힌 후 뚜껑을 3~4cm정도 개방하여 평가
② GMW 3205
시험용기에 시험편이 바닥에 닿지 않도록 매달아 70℃ OVEN에서 24시간 방치. 오븐에서 시험용기를 꺼낸 후 실온 23℃에 60분간 방치하여 식힌 후 뚜껑을 3~4cm정도 개방하여 평가
WET 조건
① MS 300-34
시험편에 시험편 중량의 10%에 해당하는 증류수를 균일하게 도포한 후 실온 23℃에 60분 방치한 후 평가
② GMW 3205
시험용기에 증류수를 넣고 시험편이 물에 닿지 않도록 매달아 70℃ OVEN에서 24시간 방치 시험 용기를 꺼낸 후 실온 23℃에 60분 방치하여 식힌 후 뚜껑을 3~4cm정도 개방하여 평가
관련규격
상담
